Show Table of Contents
4.2. Red Hat Virtualization Manager 오프라인 설치를 위한 로컬 리포지터리 설정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에 직접 연결되지 않은 시스템에 Red Hat Virtualization Manager 설치 시 여기에 필요한 패키지를 인터넷 연결이 있는 시스템에 다운로드한 후 해당 오프라인 Manager 시스템과 공유할 수 있는 리포지터리를 생성합니다. 해당 리포지터리를 호스팅하는 시스템은 반드시 패키지가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시스템과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CDN)에 액세스 가능한 시스템에 Red Hat Enterprise Linux 7 서버를 설치합니다. 해당 시스템은 필요한 모든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사용자의 오프라인 시스템에 배포합니다.
중요
이 절차에 사용되는 시스템에 디스크 여유 공간이 많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다수의 패키지가 다운로드되며 디스크 여유 공간이 50GB 필요합니다. - 사용자 시스템을 Content Delivery Network에 등록 시 사용자의 고객 포털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합니다:
# subscription-manager register
- 시스템에 필요한 모든 서브스크립션을 등록합니다:
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및Red Hat Virtualization
서브스크립션 풀을 찾아서 해당 풀 ID를 기록합니다.# subscription-manager list --available
- 이전 단계에서 기록한 풀 ID를 사용해서 시스템에 서브스크립션을 연결합니다:
# subscription-manager attach --pool=pool_id
- 기존의 모든 리포지터리를 비활성화합니다:
# subscription-manager repos --disable=*
- 필요한 리포지터리를 활성화합니다:
# subscription-manager repos --enable=rhel-7-server-rpms # subscription-manager repos --enable=rhel-7-server-supplementary-rpms # subscription-manager repos --enable=rhel-7-server-rhv-4.0-rpms # subscription-manager repos --enable=jb-eap-7-for-rhel-7-server-rpms
- 현재 설치된 모든 패키지가 업데이트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yum update
- 인터넷 연결이 없는 서버는 File Transfer Protocol(FTP)을 사용해서 다른 시스템에 있는 소프트웨어 리포지터리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FTP 리포지터리를 생성하려면 vsftpd를 설치 및 설정합니다:
- vsftpd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yum install vsftpd
vsftpd
서비스를 시작하고 부팅 시 서비스가 시작되는지 확인합니다:# service vsftpd start # chkconfig vsftpd on
/var/ftp/pub/
디렉터리에 하위 디렉터리를 생성합니다. 다운로드한 패키지를 모두 이 디렉터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mkdir /var/ftp/pub/rhevrepo
- 설정된 모든 소프트웨어 리포지터리에서 패키지를
rhevrepo
디렉터리로 다운로드합니다. 여기에는 시스템이 구독되어 있는 모든 CDN 서브스크립션 리포지터리와 로컬로 설정된 리포지터리가 포함됩니다:# reposync -l -p /var/ftp/pub/rhevrepo
해당 명령을 사용해서 다수의 패키지가 다운로드되며 완료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l
옵션을 사용하면 yum 플러그인이 지원됩니다. - createrepo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yum install createrepo
- 패키지가 다운로드된
/var/ftp/pub/rhevrepo
의 각 하위 디렉터리에 리포지터리 메타데이터를 생성합니다:# for DIR in `find /var/ftp/pub/rhevrepo -maxdepth 1 -mindepth 1 -type d`; do createrepo $DIR; done;
- 리포지터리 파일 생성 후 사용자가 Manager를 설치할 오프라인 시스템의
/etc/yum.repos.d/
디렉터리에 해당 파일을 복사합니다.수동으로 또는 스크립트를 사용해서 설정 파일을 생성합니다. 리포지터리를 호스팅하는 시스템에 다음의 스크립트를 실행하는데,baseurl
에 있는 ADDRESS 대신 리포지터리를 호스팅하는 시스템의 IP 주소 또는 정규화된 도메인 이름(FQDN)을 입력합니다:#!/bin/sh REPOFILE="/etc/yum.repos.d/rhev.repo" for DIR in `find /var/ftp/pub/rhevrepo -maxdepth 1 -mindepth 1 -type d`; do echo -e "[`basename $DIR`]" > $REPOFILE echo -e "name=`basename $DIR`" >> $REPOFILE echo -e "baseurl=ftp://ADDRESS/pub/rhevrepo/`basename $DIR`" >> $REPOFILE echo -e "enabled=1" >> $REPOFILE echo -e "gpgcheck=0" >> $REPOFILE echo -e "\n" >> $REPOFILE done;
- 오프라인 시스템에 Manager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설치 방법은 3.2절. “Red Hat Virtualization Manager 패키지 설치”를 참조하십시오. 패키지는 CDN 대신에 로컬 리포지터리에서 설치됩니다.
- Manager를 설정합니다. 초기 설정 방법은 3.3절. “Red Hat Virtualization Manager 설정”을 참조하십시오.
- 다음 부분에서 호스트, 스토리지, 그리고 가상 머신 설정을 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