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lose Expand all Collapse all Table of contents 표준 RHEL 9 설치 수행 보다 포괄적 수용을 위한 오픈 소스 용어 교체 Red Hat 문서에 관한 피드백 제공 1. 설치 방법 Expand section "1. 설치 방법" Collapse section "1. 설치 방법" 1.1. 사용 가능한 설치 방법 2. RHEL 설치 준비 Expand section "2. RHEL 설치 준비" Collapse section "2. RHEL 설치 준비" 2.1. 지원되는 RHEL 아키텍처 및 시스템 요구 사항 Expand section "2.1. 지원되는 RHEL 아키텍처 및 시스템 요구 사항" Collapse section "2.1. 지원되는 RHEL 아키텍처 및 시스템 요구 사항" 2.1.1. 지원되는 아키텍처 2.1.2. 시스템 요구 사항 2.2. RHEL 설치 ISO 이미지 다운로드 Expand section "2.2. RHEL 설치 ISO 이미지 다운로드" Collapse section "2.2. RHEL 설치 ISO 이미지 다운로드" 2.2.1. 설치 ISO 이미지 유형 2.2.2. 고객 포털에서 ISO 이미지 다운로드 2.2.3. curl을 사용하여 ISO 이미지 다운로드 2.3. RHEL의 부팅 가능 설치 미디어 생성 Expand section "2.3. RHEL의 부팅 가능 설치 미디어 생성" Collapse section "2.3. RHEL의 부팅 가능 설치 미디어 생성" 2.3.1. 설치 부팅 미디어 옵션 2.3.2. 부팅 가능한 DVD 또는 CD 만들기 2.3.3. Linux에서 부팅 가능한 USB 장치 생성 2.3.4. Windows에서 부팅 가능한 USB 장치 생성 2.3.5. Mac OS X에서 부팅 가능한 USB 장치 생성 2.4. 설치 소스 준비 Expand section "2.4. 설치 소스 준비" Collapse section "2.4. 설치 소스 준비" 2.4.1. 설치 소스 유형 2.4.2. 설치 소스 지정 2.4.3. 네트워크 기반 설치를 위한 포트 2.4.4. NFS 서버에서 설치 소스 생성 2.4.5. HTTP 또는 HTTPS를 사용하여 설치 소스 생성 2.4.6. FTP를 사용하여 설치 소스 생성 2.4.7. 설치 소스로 하드 드라이브 준비 2.5. PXE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설치 준비 Expand section "2.5. PXE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설치 준비" Collapse section "2.5. PXE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설치 준비" 2.5.1. 네트워크 설치 개요 2.5.2. BIOS 기반 클라이언트용 TFTP 서버 구성 2.5.3. UEFI 기반 클라이언트용 TFTP 서버 구성 2.5.4. IBM Power 시스템용 네트워크 서버 구성 2.6. 원격 리포지터리 생성 Expand section "2.6. 원격 리포지터리 생성" Collapse section "2.6. 원격 리포지터리 생성" 2.6.1. RHEL에 Apache 설치 2.6.2. 원격 리포지터리 생성 3. AMD64, Intel 64 및 64비트 ARM에 Red Hat Enterprise Linux 설치 Expand section "3. AMD64, Intel 64 및 64비트 ARM에 Red Hat Enterprise Linux 설치" Collapse section "3. AMD64, Intel 64 및 64비트 ARM에 Red Hat Enterprise Linux 설치" 3.1. 권장 단계 3.2. 설치 부팅 Expand section "3.2. 설치 부팅" Collapse section "3.2. 설치 부팅" 3.2.1. 부팅 메뉴 3.2.2. 부팅 옵션 유형 3.2.3. BIOS에서 boot: prompt 편집 3.2.4. > 프롬프트를 사용하여 사전 정의된 부팅 옵션 편집 3.2.5. UEFI 기반 시스템의 GRUB2 메뉴 편집 3.2.6. USB, CD 또는 DVD에서 설치 부팅 3.2.7. PXE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 설치 부팅 3.3. 고객 포털에서 ISO 이미지를 사용하여 RHEL 설치 3.4. GUI를 사용하여 CDN에서 RHEL 등록 및 설치 Expand section "3.4. GUI를 사용하여 CDN에서 RHEL 등록 및 설치" Collapse section "3.4. GUI를 사용하여 CDN에서 RHEL 등록 및 설치" 3.4.1.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란? 3.4.2. CDN에서 RHEL 등록 및 설치 Expand section "3.4.2. CDN에서 RHEL 등록 및 설치" Collapse section "3.4.2. CDN에서 RHEL 등록 및 설치" 3.4.2.1. 시스템 등록 후 설치 소스 리포지토리 3.4.3. CDN에서 시스템 등록 확인 3.4.4. CDN에서 시스템 등록 해제 3.5. 설치 후 작업 완료 Expand section "3.5. 설치 후 작업 완료" Collapse section "3.5. 설치 후 작업 완료" 3.5.1. 명령줄을 사용하여 시스템 등록 3.5.2. 서브스크립션 관리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시스템 등록 3.5.3. 설치 프로그램 GUI를 사용하여 RHEL 9 등록 3.5.4. 등록 도우미 3.5.5. subscription-manager 명령줄 툴을 사용하여 시스템 용도 구성 3.5.6. 시스템 보안 3.5.7. 설치 직후 보안 프로필과 호환되는 시스템 배포 Expand section "3.5.7. 설치 직후 보안 프로필과 호환되는 시스템 배포" Collapse section "3.5.7. 설치 직후 보안 프로필과 호환되는 시스템 배포" 3.5.7.1. GUI에서 서버와 호환되지 않는 프로파일 3.5.7.2. 그래픽 설치를 사용하여 기준으로 호환되는 RHEL 시스템 배포 3.5.7.3. Kickstart를 사용하여 기준 준수 RHEL 시스템 배포 3.5.8. 다음 단계 4. 설치 사용자 지정 Expand section "4. 설치 사용자 지정" Collapse section "4. 설치 사용자 지정" 4.1. 설치 사용자 지정 Expand section "4.1. 설치 사용자 지정" Collapse section "4.1. 설치 사용자 지정" 4.1.1. 언어 및 위치 설정 구성 4.1.2. 현지화 옵션 구성 4.1.3. 시스템 옵션 구성 Expand section "4.1.3. 시스템 옵션 구성" Collapse section "4.1.3. 시스템 옵션 구성" 4.1.3.1. 설치 대상 구성 4.1.3.2. 부트 로더 구성 4.1.3.3. Kdump 구성 4.1.3.4. 네트워크 및 호스트 이름 옵션 구성 Expand section "4.1.3.4. 네트워크 및 호스트 이름 옵션 구성" Collapse section "4.1.3.4. 네트워크 및 호스트 이름 옵션 구성" 4.1.3.4.1. 네트워크 및 호스트 이름 구성 4.1.3.4.2.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추가 4.1.3.4.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 편집 4.1.3.4.4. 인터페이스 연결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4.1.3.4.5. 정적 IPv4 또는 IPv6 설정 설정 4.1.3.4.6. 경로 구성 4.1.3.4.7. 추가 리소스 4.1.3.5. Red Hat에 연결 설정 Expand section "4.1.3.5. Red Hat에 연결 설정" Collapse section "4.1.3.5. Red Hat에 연결 설정" 4.1.3.5.1. 시스템 용도 소개 4.1.3.5.2. Red Hat 옵션에 연결 설정 4.1.3.5.3. 4.1.3.5.4. CDN에서 시스템 등록 확인 4.1.3.5.5. CDN에서 시스템 등록 해제 4.1.3.5.6. 추가 리소스 4.1.3.6. Expand section "4.1.3.6. " Collapse section "4.1.3.6. " 4.1.3.6.1. 4.1.3.6.2. 4.1.3.6.3. 추가 리소스 4.1.4. Expand section "4.1.4. " Collapse section "4.1.4. " 4.1.4.1. 4.1.4.2. 4.1.5. Expand section "4.1.5. " Collapse section "4.1.5. " 4.1.5.1. Expand section "4.1.5.1. " Collapse section "4.1.5.1. " 4.1.5.1.1. 4.1.5.1.2. 4.1.5.1.3. 4.1.5.1.4. 4.1.5.2. Expand section "4.1.5.2. " Collapse section "4.1.5.2. " 4.1.5.2.1. 4.1.5.2.2. 4.1.6. 수동 파티션 설정 Expand section "4.1.6. 수동 파티션 설정" Collapse section "4.1.6. 수동 파티션 설정" 4.1.6.1. 4.1.6.2. 4.1.6.3. 4.1.6.4. 4.1.6.5. /home 디렉토리 보존 4.1.6.6. 설치 중 소프트웨어 RAID 생성 4.1.6.7. LVM 논리 볼륨 생성 4.1.6.8. LVM 논리 볼륨 구성 4.1.7. 루트 암호 구성 4.1.8. 사용자 계정 생성 4.1.9. 고급 사용자 설정 편집 5. 64비트 IBM Z에 Red Hat Enterprise Linux 설치 Expand section "5. 64비트 IBM Z에 Red Hat Enterprise Linux 설치" Collapse section "5. 64비트 IBM Z에 Red Hat Enterprise Linux 설치" 5.1. 64비트 IBM Z에 설치 계획 5.2. 64비트 IBM Z 서버의 설치 프로세스 개요 5.3. 64비트 IBM Z 서버에 RHEL을 설치하기 위한 부팅 미디어 5.4. 부팅 매개변수 사용자 정의 5.5. 64비트 IBM Z의 매개변수 및 구성 파일 Expand section "5.5. 64비트 IBM Z의 매개변수 및 구성 파일" Collapse section "5.5. 64비트 IBM Z의 매개변수 및 구성 파일" 5.5.1. 64비트 IBM Z에 필수 구성 파일 매개변수 5.5.2. 64비트 IBM Z/VM 구성 파일 5.5.3. 64비트 IBM Z에 설치 네트워크, DASD 및 FCP 매개변수 5.5.4. 64비트 IBM Z에 Kickstart 설치에 대한 매개변수 5.5.5. 64비트 IBM Z의 기타 매개변수 5.5.6. 64비트 IBM Z의 샘플 매개변수 파일 및 CMS 구성 파일 5.6. LPAR에 설치 Expand section "5.6. LPAR에 설치" Collapse section "5.6. LPAR에 설치" 5.6.1. LPAR에서 설치 부팅 5.6.2. 설치 시스템에 연결 5.6.3. FTP 서버를 사용하여 LPAR에 설치 5.6.4. 준비된 DASD를 사용하여 LPAR에 설치 5.6.5. 준비된 FCP 연결 SCSI 디스크를 사용하여 LPAR에 설치 5.7. z/VM에 설치 Expand section "5.7. z/VM에 설치" Collapse section "5.7. z/VM에 설치" 5.7.1. z/VM 리더 사용 5.7.2. 준비 DASD 사용 5.7.3. Prepared FCP 연결 SCSI 디스크 사용 5.7.4. 64비트 IBM Z에서 매개변수 및 구성 파일 사용 5.8. KVM에 설치 5.9. 64비트 IBM Z에 Linux 인스턴스 구성 Expand section "5.9. 64비트 IBM Z에 Linux 인스턴스 구성" Collapse section "5.9. 64비트 IBM Z에 Linux 인스턴스 구성" 5.9.1. DASD 추가 5.9.2. 온라인에서 DASD를 동적으로 설정 5.9.3. 낮은 수준의 포맷을 사용하여 새 DASD 준비 5.9.4. 지속적으로 DASD를 온라인으로 설정 5.9.5. 루트 파일 시스템의 일부인 DASD 5.9.6. 루트 파일 시스템의 일부가 아닌 DASD 5.9.7. 루트 파일 시스템의 일부인 FCP LUN 5.9.8. 루트 파일 시스템의 일부가 아닌 FCP LUN 5.9.9. qeth 장치 추가 5.9.10. 동적으로 qeth 장치 추가 5.9.11. qeth 장치 영구적으로 추가 5.9.12. 네트워크 루트 파일 시스템에 대한 64비트 IBM Z 네트워크 장치 구성 5.10. UEFI Secure Boot를 사용하여 시스템 부팅 Expand section "5.10. UEFI Secure Boot를 사용하여 시스템 부팅" Collapse section "5.10. UEFI Secure Boot를 사용하여 시스템 부팅" 5.10.1. UEFI Secure Boot 및 RHEL 릴리스 5.10.2. UEFI Secure Boot에 대한 사용자 정의 공개 키 추가 5.10.3. 사용자 정의 공개 키 제거 6. VNC를 사용하여 원격 RHEL 설치 수행 Expand section "6. VNC를 사용하여 원격 RHEL 설치 수행" Collapse section "6. VNC를 사용하여 원격 RHEL 설치 수행" 6.1. VNC를 사용하여 원격 RHEL 설치 수행 Expand section "6.1. VNC를 사용하여 원격 RHEL 설치 수행" Collapse section "6.1. VNC를 사용하여 원격 RHEL 설치 수행" 6.1.1. 개요 6.1.2. 고려 사항 6.1.3. VNC 직접 모드에서 원격 RHEL 설치 수행 6.1.4. VNC 연결 모드에서 원격 RHEL 설치 수행 I 부. 부록 Expand section "I 부. 부록" Collapse section "I 부. 부록" A. 시스템 요구 사항 참조 Expand section "A. 시스템 요구 사항 참조" Collapse section "A. 시스템 요구 사항 참조" A.1. 지원되는 설치 대상 A.2. 디스크 및 메모리 요구 사항 A.3. UEFI Secure Boot 및 Beta 릴리스 요구 사항 B. 파티션 참조 Expand section "B. 파티션 참조" Collapse section "B. 파티션 참조" B.1. 지원되는 장치 유형 B.2. 지원되는 파일 시스템 B.3. 지원되는 RAID 유형 B.4. 권장 파티션 스키마 B.5. 파티션 관련 설명 B.6. 지원되는 하드웨어 스토리지 C. 서브스크립션 서비스 변경 Expand section "C. 서브스크립션 서비스 변경" Collapse section "C. 서브스크립션 서비스 변경" C.1. 서브스크립션 관리 서버에서 등록 취소 Expand section "C.1. 서브스크립션 관리 서버에서 등록 취소" Collapse section "C.1. 서브스크립션 관리 서버에서 등록 취소" C.1.1. 명령줄을 사용하여 등록 취소 C.1.2. Subscription Manager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등록 취소 C.2. Satellite 서버에서 등록 취소 D. 설치 프로그램의 iSCSI 디스크 E. 문제 해결 및 버그 보고 툴 및 팁 Expand section "E. 문제 해결 및 버그 보고 툴 및 팁" Collapse section "E. 문제 해결 및 버그 보고 툴 및 팁" E.1. dracut E.2. 설치 로그 파일 사용 Expand section "E.2. 설치 로그 파일 사용" Collapse section "E.2. 설치 로그 파일 사용" E.2.1. 사전 설치 로그 파일 생성 E.2.2. 설치 로그 파일을 USB 드라이브에 전송 E.2.3. 네트워크를 통해 설치 로그 파일 전송 E.3. Memtest86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메모리 오류 감지 Expand section "E.3. Memtest86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메모리 오류 감지" Collapse section "E.3. Memtest86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메모리 오류 감지" E.3.1. Memtest86 실행 E.4. 부팅 미디어 확인 E.5. 설치 중에 콘솔 및 로깅 E.6. 스크린샷 저장 E.7. 설정 및 장치 드라이버 표시 E.8. Red Hat 고객 지원에 오류 메시지 보고 F. 문제 해결 Expand section "F. 문제 해결" Collapse section "F. 문제 해결" F.1. 중단된 다운로드 시도 다시 시작 F.2. 디스크가 검색되지 않음 F.3. RAID 카드로 부팅할 수 없음 F.4. 그래픽 부팅 시퀀스가 응답하지 않음 F.5. 로그인 후 X 서버 실패 F.6. RAM이 인식되지 않습니다. F.7. 시스템이 신호 11 오류를 표시 F.8. 네트워크 스토리지 공간에서 IPL을 사용할 수 없음 F.9. XDMCP 사용 F.10. 복구 모드 사용 Expand section "F.10. 복구 모드 사용" Collapse section "F.10. 복구 모드 사용" F.10.1. 복구 모드로 부팅 F.10.2. 복구 모드에서 SOS 보고서 사용 F.10.3. GRUB2 부트 로더 재설치 F.10.4. RPM을 사용하여 드라이버 추가 또는 제거 F.11. ip= 부팅 옵션은 오류를 반환합니다. F.12. iLO 또는 iDRAC 장치에서 그래픽 설치로 부팅할 수 없습니다. F.13. rootfs 이미지는 initramfs가 아닙니다. Settings Close Language: English 日本語 简体中文 한국어 Français Language: English 日本語 简体中文 한국어 Français Format: Multi-page Single-page Format: Multi-page Single-page Language and Page Formatting Options Language: English 日本語 简体中文 한국어 Français Language: English 日本語 简体中文 한국어 Français Format: Multi-page Single-page Format: Multi-page Single-page 표준 RHEL 9 설치 수행 Red Hat Enterprise Linux 9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RHEL 9 설치초록 이 문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표준 Red Hat Enterprise Linux 9 설치를 수행하려는 사용자를 위한 것입니다.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