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 To Close Expand all Collapse all Table of contents SELinux 사용 보다 포괄적 수용을 위한 오픈 소스 용어 교체 Red Hat 문서에 관한 피드백 제공 1. SELinux 시작하기 Expand section "1. SELinux 시작하기" Collapse section "1. SELinux 시작하기" 1.1. SELinux 소개 1.2. SELinux 실행의 이점 1.3. SELinux 예 1.4. SELinux 아키텍처 및 패키지 1.5. SELinux 상태 및 모드 2. SELinux 상태 및 모드 변경 Expand section "2. SELinux 상태 및 모드 변경" Collapse section "2. SELinux 상태 및 모드 변경" 2.1. SELinux 상태 및 모드의 영구 변경 2.2. 허용 모드로 변경 2.3. 강제 모드로 변경 2.4. 이전에 비활성화한 시스템에서 SELinux 활성화 2.5. SELinux 비활성화 2.6. 부팅 시 SELinux 모드 변경 3. 제한된 사용자 및 제한되지 않은 사용자 관리 Expand section "3. 제한된 사용자 및 제한되지 않은 사용자 관리" Collapse section "3. 제한된 사용자 및 제한되지 않은 사용자 관리" 3.1. 제한된 사용자 및 제한되지 않은 사용자 3.2. SELinux 사용자의 역할 및 액세스 권한 3.3. SELinux에서 제한된 비관리자 역할 3.4. SELinux에서 제한된 관리자 역할 3.5. SELinux unconfined_u 사용자에게 자동 매핑되는 새 사용자 추가 3.6. SELinux 제한 사용자로 새 사용자 추가 3.7. 일반 사용자 제한 3.8. sysadm_u에 매핑하여 관리자 제한 3.9. sudo 및 sysadm_r 역할을 사용하여 관리자 제한 3.10. 추가 리소스 4. 비표준 구성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에 대한 SELinux 구성 Expand section "4. 비표준 구성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에 대한 SELinux 구성" Collapse section "4. 비표준 구성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에 대한 SELinux 구성" 4.1. 비표준 구성에서 Apache HTTP 서버에 대한 SELinux 정책 사용자 정의 4.2. SELinux 부울을 사용하여 NFS 및 CIFS 볼륨 공유 정책 조정 4.3. 추가 리소스 5. SELinux와 관련된 문제 해결 Expand section "5. SELinux와 관련된 문제 해결" Collapse section "5. SELinux와 관련된 문제 해결" 5.1. SELinux 거부 식별 5.2. SELinux 거부 메시지 분석 5.3. 분석된 SELinux 거부 수정 5.4. 로컬 SELinux 정책 모듈 생성 5.5. 감사 로그의 SELinux 거부 5.6. 추가 리소스 6. 다단계 보안(MLS) 사용 Expand section "6. 다단계 보안(MLS) 사용" Collapse section "6. 다단계 보안(MLS) 사용" 6.1. 다단계 보안(MLS) 6.2. MLS에서 SELinux 역할 6.3. MLS로 SELinux 정책 전환 6.4. MLS에 사용자 활성화 설정 6.5. MLS에서 정의된 보안 범위 내에서 사용자의 명확한 수준 변경 6.6. MLS에서 파일 민감성 수준 증가 6.7. MLS에서 파일 민감도 변경 6.8. MLS의 보안 관리와 시스템 관리 분리 6.9. MLS에서 보안 터미널 정의 6.10. MLS 사용자가 더 낮은 수준에서 파일을 편집 가능 7. 데이터 기밀성에 MCCS(Multi-Category Security) 사용 Expand section "7. 데이터 기밀성에 MCCS(Multi-Category Security) 사용" Collapse section "7. 데이터 기밀성에 MCCS(Multi-Category Security) 사용" 7.1. MCCS(Multi-Category Security) 7.2. 데이터 기밀성에 대한 Multi-Category 보안 구성 7.3. MCS에서 카테고리 레이블 정의 7.4. MCS의 사용자에게 카테고리 할당 7.5. MCS의 파일에 카테고리 할당 8. 사용자 지정 SELinux 정책 작성 Expand section "8. 사용자 지정 SELinux 정책 작성" Collapse section "8. 사용자 지정 SELinux 정책 작성" 8.1. 사용자 지정 SELinux 정책 및 관련 도구 8.2. 사용자 지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SELinux 정책 생성 및 실행 8.3. 추가 리소스 9. 컨테이너에 대한 SELinux 정책 생성 Expand section "9. 컨테이너에 대한 SELinux 정책 생성" Collapse section "9. 컨테이너에 대한 SELinux 정책 생성" 9.1. udica SELinux 정책 생성기 소개 9.2. 사용자 지정 컨테이너에 대한 SELinux 정책 생성 및 사용 9.3. 추가 리소스 10. 여러 시스템에 동일한 SELinux 구성 배포 Expand section "10. 여러 시스템에 동일한 SELinux 구성 배포" Collapse section "10. 여러 시스템에 동일한 SELinux 구성 배포" 10.1. selinux 시스템 역할 소개 10.2. selinux 시스템 역할을 사용하여 여러 시스템에 SELinux 설정 적용 10.3. semanage를 사용하여 다른 시스템으로 SELinux 설정 전송 법적 공지 Settings Close Language: 简体中文 한국어 日本語 English Español Português Language: 简体中文 한국어 日本語 English Español Português Format: Multi-page Single-page Format: Multi-page Single-page Language and Page Formatting Options Language: 简体中文 한국어 日本語 English Español Português Language: 简体中文 한국어 日本語 English Español Português Format: Multi-page Single-page Format: Multi-page Single-page Red Hat Training A Red Hat training course is available for RHEL 8 4.3. 추가 리소스 SELinux와 관련된 문제 해결 Previous Next